http://dulim002.tistory.com/navera9efff1313334882db11fb35be971fcf.html
본문 바로가기

my interesting

<TED-How Your Brain Falls In Love>/우리의 뇌는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 걸까?/남성은 성관계로 애정을 느끼진 않는다/호르몬의 마법

오늘 TED강연을 들었는데 제목이 How Your Brain Falls In Love
입니다.
우리의 뇌는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 걸까요?

우선 Dawn Maslar는 저희에게 물어봅니다

그리고 먼저 우리가 사랑을 말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십니다.

우리가 사랑을 말할때 증상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하면서 우리는 긴장을 하게되고
옥시토신또한 증가하면서 성적인 흥분을 하게 되죠.

여성의 테스토스테론은 증가하여, 더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이 떨어지면서 수동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남성 여성 모두 세리토닌이 증가하여 조금 더 상대에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죠

우리가 어떤 반응이라고 말할때는
어떠한 기준점을 넘는 수준일 때 반응이라고 말하는데요

화학에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활성효소에 의해서 계속 반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즉 활성효소의 반응이에 어떤 에너지가 계속 감소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녀는 방학이 되어 고향에 돌아갔고 생화학을 전공하고 있는 사촌에게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사랑에 대해서 설명해줬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사촌에게 "내 생각에는 사랑은 생화학같아"라고 했답니다
그들의 대화는 그렇게 잘 흘러갔지만

그녀의 95연세의 할머니가 갑자기 이렇게 말씀하셨답니다
"너네는 사랑에 대해서 몰라, 젊은 여자들의 문제는 침대에 뛰어들고 너무 쉽게 사랑에 빠지는 거야"
"너희가 사랑하는 방식은 그 남자가 사랑에 빠질 수가 없어"

하지만 Dawn Maslar는 마치 여성과 남성이 어떤 이론을 가지고 있다는 말은 하고 싶지 않았고, 그녀의 사촌 또한 할머니의 말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과학적으로 사랑을 설명하고 싶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Dawn Maslar는 구체적으로 물어봤습니다.
Dawn Masla: 성관계 전에 얼마의 기간동안 기다려야 하는거에요?
할머니: 남자가 사랑에 빠질때까지
Dawn Maslar: 남자가 사랑에 빠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어요?
할머니: 아! 남자가 너한테 사랑을 약속할때 사랑에 빠진거야

그 이야기를 듣던 사촌은 그냥 고개를 흔들고 할머니를 집으로 데리고 갔버렸답니다.
하지만 Dawn Maslar은 집에 돌아와서 할머니가 말하는 것에 대해서 더 조사를 했고
한가지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사랑에 빠진 사람의 집단군을 모집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했는데요
가장 사람과 비슷한 '쥐'를 이용하여 실험했다고 합니다

'쥐'는 흥미있는 상대를 찾고 사랑에 빠지면 평생을 동반자로 여기고 살아가는데요

그들이 화학적 반응을 하는 첫번째 신경반응은
'도파민'

'쥐'는 도파민이 분출할때 사랑을 느끼고
도파민을 제거하면 사랑을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쉽게 도파민때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는데요
그 이유는 도파민은 여러가지 다른 활동으로도 생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임을 하거나 초콜릿을 먹어도 도파민은 생성됩니다.

따라서 도파민만으로 사랑에 빠졌다고 할 수 없는데요
그래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다른 호르몬이 있습니다
'옥시토신'

옥시토신은 유대감을 느끼는 호르몬인데요

암컷은

암컷이 흥미로워 하는 수컷을 찾았을 때 옥시토신은 51%정도 증가하고
암컷의 옥시토신을 제거하면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럼, "아! 사랑은 도파민과 옥시토신에 의해 결정짓는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수컷은 테스토스테론 즉 남성호른몬이 옥시토신을 생성하지 못하게 합니다.

수컷에게서는 다른 작용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암컷의 옥시토신과 같은 호르몬이 생성됩니다
바로. 바소프레신

수컷이 사랑에 빠질때 바소프레신은 도파민과 함께 상승하며
바소프레신을 제거하면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상관관계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바로 '쥐'와'사람'이 사랑에 빠지는게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죠

다시 돌아와서 암컷 즉 여성이 사랑에 느끼는 지점은
도파민이 형성되고 동시에 옥시토신이 형성될때 입니다.
즉, 데이트를 하거나 승리를 하거나 흥미진진하고 행복할 때 여성의 도파민은 생성이 되고
옥시토신이 나옵니다.

옥시토신은 애정호르면, 신뢰호르몬인데요
여성은 키스하고, 포옹하는 애정을 느낄 수 있는 좋은 시간을 보낼때 옥시토신이 증가하고
또한 데이트를 하면서 상대 남성에 대해서 알수록 신뢰가 쌓이고 옥시토신이 증가합니다.

중요한 것은 옥시토신 호르몬은 굉장히 느리게 증가하지만, 여성이 오르가즘을 느낄때 아주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남성은 어떨까요?
물론 흥미로운 이성과의 데이트를 통해서 남성의 도파민과 옥시토신 바소프레소가 증가합니다.
하지만, 성관계 이후에 남성의 바소프레소 호르몬이 떨어지는데요

이러한 수용체의 역할은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The Air force에서 2000명의 모집군을 대상으로 12년 넘게 조사를 했는데요
싱글의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이 유부남의 테스토스테론보다 높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즉 유부남, 공식적으로 관계를 공표한 관계에 있는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는 것이죠.


테스토스테론이 미치는 영향을 기억하시나요? 테스토스테론은 옥시토신(애정을 느끼는 호르몬) 생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죠.

여성이 사랑에 빠지는 것은 굉장히 위험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성관계를 할때 가장 애정을 느끼기 때문이죠.
반대로 남성은 공식적인 관계도를 형성할 때 애정을 느끼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통설로
남성이 성관계로 사랑에 좌지우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이 멘틀를 마지막으로 강연은 끝납니다

ㅎㅎ많은 의미가 있네요


너무 신기하지 않아요?


저는 이 강연이 너무 신박하고 재미있어서 여러분들께 공유하고 싶어 글을 적어요~
오히려 여성이 스킨쉽을 할때 더 사랑을 느끼다니 ㅋㅋㅋㅋㅋ

맞는것 같으면 공감 꾸욱 누르고 가주세요~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안녕